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한 주 15개월 난 아이의 사망 소식이 충격을 안겨줬습니다.<br><br>부모가 아이 죽음을 감추려고 3년 동안이나 시신을 숨겨왔다가 수사를 받고 있는데요.<br><br>사회1부 정현우 기자와 알아봅니다.<br><br>Q1. 자식의 죽음을 왜 3년이나 감추려고 했을까요?<br><br>생후 15개월 난 아이가 숨진 건 2020년 1월입니다.<br><br>아이는 엄마와 함께 경기 평택시에 살고 있었는데요.<br> <br>엄마는 숨진 아이 시신을 가방에 담아 부천시에 있는 친정집으로 옮겨놓습니다.<br> <br>교도소에 복역 중이던 아이 아빠가 출소하자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아빠가 사는 집 옥상으로 시신을 옮겨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방치해놨습니다.<br><br>물론 사망신고도 안 했고요.<br><br>마치 아이가 살아있는 것처럼 아빠 친척이 사는 경기 포천시로 아이 주소지를 옮겨놓기도 했습니다.<br><br>아이 앞으로 나오는 정부의 아동수당도 엄마가 꼬박꼬박 받아왔습니다.<br><br>Q2. 아이의 사망 원인이 나왔나요?<br><br>경찰은 엄마의 학대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><br>시신 부검 결과 아이 머리뼈에서 구멍이 발견된 건데요.<br><br>다만 숨진 지 오래돼서 머리뼈의 구멍이 언제, 어떻게 생겼는지를 밝히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.<br><br>아이 엄마는 학대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데요.<br> <br>자고 일어나보니 아이가 죽어 있었고 오해를 받을까 봐 신고하지 않았다는 설명입니다.<br> <br>Q3. 그렇게 꽁꽁 감췄는데 아이의 죽음, 어떻게 밝혀진 건가요?<br><br>2019년부터 정부는 가정에서 양육하는 만 3세 아동을 매년 전수조사하고 있는데요.<br><br>숨진 아이가 살아있었다면 올해 만 3세라서 주소지인 포천시에서 조사에 나섰다가 수상한 점을 발견한 겁니다.<br><br>[포천시청 관계자]<br>"서로 키우고 있다고 하는데 엄마 말이랑 아빠 말이 계속 다르다 보니 아동에 대해서 소재가 파악이 안 되는 거예요."<br><br>어린이집에 다녔다거나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은 기록도 없었습니다.<br><br>Q4. 숨지기 전 더 빨리 발견할 수는 없었나 하는 안타까움이 큽니다.<br><br>네, 보건복지부가 지난 2020년 말에도 학대 위험성이 높은 전국 아동 2만 5천 명을 전수조사했는데<br><br>이 아이는 빠져 있어 사망 사실을 밝히지 못했구요.<br><br>빅데이터 분석으로 학대 위험을 알려주는 시스템에도 올해 조사 전까지 별다른 경보가 없어서 사망 전에도 학대 위험성을 알지 못한 겁니다.<br><br>Q5. 그런데 이 부모가 낳은 다른 아이도 이미 사망했다구요?<br><br>숨진 아이 부모는 2015년에도 아이를 낳았는데요.<br><br>100일 만에 숨졌습니다.<br><br>부검 결과는 특이점이 없어서 당시 경찰은 아이가 자다가 질식사했다고 판단했는데요.<br><br>이번 사건 이후 기록을 재검토했지만 질식사 결론이 뒤집히진 않았습니다.<br><br>Q6. 경찰 수사는 어디까지 진행됐나요?<br><br>경찰은 아이가 숨진 평택 집과 시신을 보관한 부천 집을 압수수색했고요.<br><br>일단 부모에게 사체은닉 등의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요.<br><br>두 사람 다 아이가 왜 죽었는지는 모른다는 입장이어서 사망 원인과 부모의 책임 여부를 규명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.<br><br>죄 없는 15개월 아이의 생명을 빼앗은 게 누군지 꼭 밝혀지면 좋겠네요.<br><br>사건을 보다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